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기·표·조회 방법 완전정복!
노후 자금의 기둥인 국민연금. 얼마나 받을지 정확히 알아야 퇴직연금·개인연금 설계가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예상수령액 계산 조회방법, 연령 가입기간별 수령액표, 세액공제 보험료 지원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1. 예상수령액 계산·조회 3가지 방법
- ✅ 내연금 사이트 (https://minwon.nps.or.kr) ① 공동/금융인증서 로그인 → ② ‘노후준비 서비스’ → ③ ‘예상연금조회’ 클릭.
- ✅ 내곁에 국민연금 앱 (안드로이드·iOS) STEP 1 : 설치 → STEP 2 : 카카오 또는 PASS 간편인증 → STEP 3 : 예상연금액 메뉴.
- ✅ 무인민원 발급기 : 주민번호·지문 인증 →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산정내역서’ 출력 (수수료 200원)
✅ 2. 연령·가입기간별 예상수령액 표 (2025년)
※ 평균소득월액 A값 3,260,000원·보험료율 9 % 기준, 물가 1.8 % 반영. 실제 금액은 가입이력·소득·개편안에 따라 달라집니다.
연령(수령 개시) | 가입기간 | ||
---|---|---|---|
10년 | 20년 | 30년 | |
55세(조기) | 32 | 64 | 96 |
60세(정액) | 38 | 76 | 114 |
62세(현재 개시 연령) | 41 | 82 | 123 |
65세(연기+7.2 %) | 44 | 88 | 133 |
✅ 3. 조기(감액) vs 연기(가산) 시뮬레이션
- ✅ 조기수령 : 1년 앞당길 때마다 6 %씩 감액, 최대 5년(30 %) ↓
- ✅ 연기수령 : 1년 연기 시 7.2 % 가산, 최대 5년(36 %) ↑
예시 : 예상연금 82만 원(62세) → 57만 원(5년 조기) / 112만 원(5년 연기)
✅ 4. 국민연금 + 퇴직연금·IRP 병행 전략
- ✅ 퇴직·개인연금 수령 시점을 국민연금 조기/연기와 분산해 세액공제 극대화.
- ✅ 55~64세
IRP 세액공제 한도 900만 원
활용 → 근로·사업소득이 줄어도 공제 가능. - ✅ 연금저축펀드 → 타깃데이트펀드(TDF) 전환으로 물가 상승 대응.
✅ 5.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4가지 방법
1️⃣ 연기연금 : 최대 +36 % 가산
연기 기간 | 가산율 | 예시 (기본 100만원 →) |
---|---|---|
1년 | +7.2 % | 1,072,000원 |
3년 | +21.6 % | 1,216,000원 |
5년(최대) | +36 % | 1,360,000원 |
- 연기 신청은 수급 개시 전·후 1년 이내 1회 가능 (최소 1년 단위).
- 근로·사업소득이 계속될 때 연기하면 세금·4대보험 부담도 ↓
2️⃣ 임의계속가입 : 보험료 추가 납부
- 대상 : 60세 도달·가입기간 10년 이상 → 희망 시 65세까지 계속 납부.
- 효과 : 가입기간 1년 늘 때마다 연 5 % 내외 수령액 증가.
- 신청 방법 : 주민센터·공단 지사 → ‘임의계속가입 신청서’ 제출
3️⃣ 추납보험료 : 납부 공백 메우기
- 실직·사업중단·육아휴직 기간의 보험료를 무이자 최대 120개월 분할 납부.
- 가입기간·평균소득월액이 동시에 올라가 수령액 상승.
- 온라인 ‘내연금 ▸ 추납보험료 신청’ → 매월 자동이체 설정
4️⃣ 소득 신고 & A값 관리
- 사업·프리랜서 소득도 월 기준소득월액 상향 신고 → 평균소득월액 (A값) ↑.
- 퇴직금 비과세 한도를 활용해 근로소득 증빙을 높이면 연금계좌 세액공제와 시너지.
TIP. 임의계속가입·추납보험료는 연금보험료 세액공제(15 %) 대상이므로 실제 체감 비용은 더 낮아집니다.
공단(☎ 1355)·국세청 홈택스에서 공제 내역 확인 후 신청하세요!
✅ 6. 자주하는 질문 FAQ
Q1. 1963년생인데 개시 연령이 63세인가요 64세인가요?
A. 1963~1964년생은 63세 개시, 1965~1968년생은 64세로 단계적 상향됩니다.
Q2. 예상수령액 PDF를 발급하면 대출 서류로 인정되나요?
A. 네, ‘예상연금액 산정내역서’는 공단 발급 공문으로 주요 금융권에서 소득 증빙 서류로 사용됩니다.
Q3.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을 받으면 합산 상한이 있나요?
A. 없습니다. 각자 산정액을 개별 수령하며, 유족·장애연금 중복 규정만 적용됩니다.
Q4. 연기연금은 중도에 조기 전환할 수 있나요?
A. 1회에 한해 변경 가능하며, 이미 연기한 기간만큼 가산된 금액으로 조기 수령이 시작됩니다.
Q5. 물가가 오르면 연금액도 자동 상승하나요?
A. 국민연금은 전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만큼 매년 4월 연금액을 조정합니다.
ⓘ 본 글은 2025년 국민연금공단 ‘내연금’ 데이터·보건복지부 고시를 바탕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정책 변화 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정확한 예상액은 공단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퇴직연금 IRP형 DC형 차이점
퇴직연금 제도가 궁금하신가요?IRP(개인형 퇴직연금)와 DC형(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의 차이부터 운용 방식, 세액공제 혜택, 수수료수령 방법까지 자주 묻는 질문(FAQ)으로 정리해드립니다.연금제도
aaa.moneypeak-1.co.kr
연금저축 IRP 차이 세액공제 이전 방법 총정리2025
연금저축 IRP 차이 세액공제 이전 방법 총정리2025 노후 준비도 하고, 세금도 아끼는 방법! 바로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입니다.하지만 두 상품은 구조도 다르고, 절세 방식도 조금씩
aaa.moneypeak-1.co.kr
일용직 퇴직금 조건 계산방법 신청방법
일용직 퇴직금 조건 계산방법 신청방법 "일용직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까?"라고 궁금했다면 꼭 읽어보세요.2025년 기준 퇴직금 조건부터 정확한 계산법, 신청방법까지 헷갈리는 모든 내
aaa.moneypeak-1.co.kr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인터넷발급 방법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꼭 필요할 때 이렇게 발급하세요! 건강보험 납부확인서는 각종 대출, 연말정산, 정부 지원금 신청 시 꼭 필요한 서류입니다.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aaa.moneypeak-1.co.kr